섬회양목 Glabrous Korean boxwood

회양목, 양재천 Korean Boxwood,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Buxus koreana f. insularis (Nakai) Kim & Kim

학명의 어원(Etymology)

한국 섬 회양목Buxusfrom Latin meaning box.1 라틴어로 박스를 의미하는 회양목속의 이름이다. 목질이 단단하여 오래전 부터 박스를 만드는데 쓰였다고 한다. koreana in Latin Korea + -ana, indicating connection means 'from Korea, relating to Korea.2연관성을 의미하는 라틴접미사 -ana 가 합성된 '한국의'라는 의미의 종소명이다.f. insularisFrom īnsula 'island' +‎ -āris meaning 'of or pertaining to an island' 라틴어로 섬인 insula 에서 유래한 '섬의' 라는 뜻의 변종명이다.3

과 (Family)

회양목과 (Buxaceae)

생육기 (Life Cycle)

넓은잎 늘푸른 작은키나무 (落葉/常綠/小喬木, evergreen broad-leaved small tree)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섬에서 자라는 회양목이라는 뜻이다. 회양목은 강원도의 회양(淮陽)에서 많이 자라서 회양목이라는 설과 황양목(黃陽木)이라는 이름이 석회질에서 자라는 특성을 반영해 회양목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섬회양나무라고도 하며 북한이름으로 섬고양나무가 있다.1

꽃말 (Floriography)

변함없는 모습으로 '극기와 냉정' 이 꽃말이다.

원산지 (Origin)

한국(Korea)

서식(Habitat)

회양목보다 온도가 높아도 잘 자라기 때문에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서식한다.5

꽃색상 (Bloom Color)

노란색(Yellow)

개화시기 (Bloom Time)

4월 (May)

약용 (Herbalism)

잎을 약용한다.1

조경 (Landscape Uses)

정원수로 주로 쓰이며 가지와 잎이 치밀하고 전정에도 강하여 정원에서 모양을 다듬어 장식하는 나무로도 쓰인다. 공해에 강해 도로변에 차폐식재로 많이 쓰이고 산울타리, 경계식재로 많이 사용된다.

농업 (Agricultural Uses)

이른 봄에 꽃을 피워 향기가 있으며 꽃이 드문 시기에 벌들의 훌륭한 양식이 된다.6

주요특징 (Key Features)

작은 가지는 네모지고 녹색이며4 회양목보다 잎이 더 크고 잎자루에 털이 없다.5

기타 (Miscellaneous)

나무가 천천히 자라 600년~700년 후에 치밀하고 단단한 목재가 되어 도장이나 호패, 측량도구, 목활자, 얼레빗을 만드는데 사용했다.5
회양목, 양재천 Korean Boxwood,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created in May 29, 2018.revised in July 8, 2020.
1. "Buxus."Merriam-Webster.accessed July 8, 2020.2. Harold T. Clifford, Peter D. Bostock.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asses.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3. "insularis."Wiktionary.accessed July 8, 2020.4. "회양목."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accessed July 8, 2020.5. "회양목."Wikipedia.accessed July 8, 2020.6. "회양목."네이버블로그.accessed July 8,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