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감주나무 Goldenrain Tree

모감주나무 Goldenrain Tree, 옥정동 HAL, August 14 2022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Koelreuteria paniculata Laxxmann.

학명의 어원 (Etymology)

원추화서 무환자나무Koelreuteria독일의 카를스루에 출신인 Joseph Gottlieb Kölreuter (27 April 1733 – 11 November 1806)를 기념하여 지어진 무환자나무속의 이름이다.w4paniculata with branched-racemose or cymose inflorescences', 'paniculate','with panicles' 꽃 모양이 원추화서임을 가르키는 종소명이다.

과 (Family)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생육기 (Life Cycle)

넓은잎 갈잎 작은키나무 (落葉/闊葉/小喬木, deciduous broad-leaved tree)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산에서 자라는 벚나무라는 의미에서 산벚나무나 부른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갈색 껍질 속에 검은 열매가 맺는데 염주를 만드는 재료로 쓰기 때문에 염주나무라고도 불리운다. 꽃이 피었을 때 황금비가 내리는 것 같다고 하여 Goldenrain Tree 라고 하고, China Tree, Varnish Tree라고도 한다.

꽃말 (Floriography)

번영

원산지 (Origin)

한국, 중국 (Korea, China)

서식 (Habitat)

씨앗이 해류에 의해 전파된다고 하며 국내에서는 서남해 도서의 해안가, 강원도의 바다 가까운 하천의 가장자리 및 경북의 강변 절벽지대에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모감주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압록강 하구, 황해도 초도와 장산곶 사이, 경기도 덕적도 북리, 충북 영동과 월악산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해류에 의한 식물전파 경로를 아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식물이 되고 있다.1

꽃색상 (Bloom Color)

노란색 (Yellow)

개화시기 (Bloom Time)

6월 말-7월 중순(June-July)

식용 (Edible Uses)

크게 알려진바는 없다.

약용 (Herbalism)

모감주나무가 속한 무환자나무(Sapindus mukorossi)의 열매는 서양에서는 숍베리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며 비누대용으로 썼다고 한다.2

조경 (Landscape Uses)

바닷바람과 추위 공해에 강하며 단풍이 아름다와 공원의 물가 주변에 관상수로 많이 심는데 주로 시선을 끄는 중심에 이용한다.

농업용 (Agricultural Uses)

황색꽃은 염색에 쓰여 사찰 주변에 많이 심었다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높이 8~10cm 자라며 잎은 어긋나기, 홀수 1회 깃털형겹잎이며 길이 25cm~35cm dlek. 작은 잎은 7~15개가 모여 달리는데 둔한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꽃은 원추꽃차례이며 가지끝에 꽃이 달리고 짧게 퍼진 털이 있다. 노란색 중심부는 붉은색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꽈리 같으며 길이 4~5cm, 3개로 갈라지며 검고 둥글며 윤이나는 종자가 3개씩 들어있다. 9월초에서 10월 초에 성숙한다.

기타 (Miscellaneous)

완도의 남서쪽 해안선을 따라 길이 약1㎞, 폭 40∼100m의 장방형 모양으로 모감주나무 474주가 타 수종과 함께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3 18세기 중반 유럽과 미국으로 전해졌으며 세계적인 수종이 되었다.
모감주나무 Goldenrain Tree, 옥정동 HAL, August 14 2022 ⓒDragonBlossom
모감주나무 Goldenrain Tree, 옥정동 HAL, August 14 2022 ⓒDragonBlossom
created in June 22, 2020.revised in September 29, 2022
1. "완도 대문리 모감주나무 군락."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published 2001. accessed September 29, 2022.2. Ibid.3. Ib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