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비비추 Ilwol Hosta


일월비비추, 양재천 Ilwol Hosta, LG-F570S, June 22, 2018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Hosta capitata (Koidz.) Nakai

학명의 어원(Etymology)

머리모양 꽃차례 비비추Hosta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식물학자인 Nicolaus Thomas Host (1761-1834)의 이름을 기념하는 비비추의 속명이다.capitatafrom the Latin, caput/capitis, meaning 'head' and hence describes the plant has having its flowers arranged in head-like inflorescences. 라틴어 caput/capitis 에서 유래한 머리 모양 꽃차례(두상화서 頭狀花序)를 의미하는 종소명이다. 머리모양 꽃차례는 꽃대 위에 꽃이 동그랗게 모인다.1

과 (Family)

백합과 (Liliaceae)

생육기 (Life Cycle)

여러해살이 풀꽃 (Herbaceous Per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비비추라는 이름은 봄에 새로 난 잎이 '비비' 꼬여 있거나 어린잎을 손으로 거품이 나올 때까지 '비벼서' 먹는 나물이라고 '비비추'란 의미이다.2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비비취, 방울비비추, 비녀비비추.

꽃말 (Floriography)

하늘이 내린 인연

원산지 (Origin)

한국 (Korea)

서식(Habitat)

산과 들판의 반그늘이며 습한 냇가에 무리지어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보라색 (Light Purple)

개화시기 (Bloom Time)

6월-7월 (June-July)

식용 (Edible Uses)

새순을 나물, 된장국, 쌈, 묵나물로 먹는데 삶아서 하루정도 물에 담가 독성을 빼야 한다.

약용 (Herbalism)

생약의 효능은 좀비비추에 준하며 비비추는 자주색꽃이 피는 꽃이라는 의미에서 자옥잠 (​紫玉簪) 이라 부른다. 비비추에는 자양제로 쓰이며 생체기능을 활성화하는 쿠마린이 들어있다.

조경 (Landscape Uses)

뿌리가 튼튼하여 토양을 고정시키는 능력이 뛰어나 절개사면의 녹화로 이용하고 낙엽성 교목류의 하부식재와 척박지 녹화용으로 식재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비비추보다 잎이 둥글고 꽃이 상부에 몰려 핀다.

기타 (Miscellaneous)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경제적 가치가 크다.
일월비비추, 양재천 Ilwol Hosta, LG-F570S, June 22, 2018 © DragonBlossom
일월비비추, 양재천 Ilwol Hosta, LG-F570S, June 22, 2018 © DragonBlossom
created in June 27, 2018.revised in July 8, 2020.

1. "Myosotis capitata."wikipedia.org.published. accessed July 8, 2020.2. "여름 화단 장식하는 보랏빛 꽃."조선일보.published August 3, 2018. accessed July 8,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