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꿩의비름 Showy Stonecrop


큰꿩의 비름, 양재천 Showy Stonecrop, LG-F570S, July 18, 2018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Sedum telephium var. kirinense Kom.

학명의 어원 (Etymology)

꽃이 화려한 꿩의비름Hylotelephiumfrom Greek Hylo 'matter, wood, forest' and Telephus 'Tēlephos, far-shining', son of Heracules and Auge, according to some, King of Mysia. '텔레포스 나무'이라는 뜻의 꿩의비름속의 이름이다. 그리스어로 나무라는 뜻의 Hylo 와 '멀리까지 빛나는' 이라는 이름의 그리스 신화 등장인물인 텔레포스의 합성어로 멀리까지 빛나는 나무라는 뜻의 속명이다. 텔레포스는 헤라클레스와 아우게 사이의 아들로 나중에 미시아의 왕이 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의 번성한 도시 중의 하나인 Pergamon을 설립했다. 꿩의 비름의 잎이 윤기가 나고 풀이지만 굵은 뿌리에서 몇 개의 줄기에서 모여 나와 나무 같은 형태가 되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으로 추측된다.4spectabileis derived from the Latin spectabilis, meaning 'visible' or 'spectacular' 눈에 띄는, 화려하다는 의미의 종소명이다.2

과 (Family)

돌나물과 (Crassulaceae)

생육기 (Life Cycle)

여러해살이 풀 (Herbaceous Per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꿩의 비름 중 크다는 의미이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ice plant, butterfly stonecrop.

꽃말 (Floriography)

희망 (Hope)

원산지 (Origin)

한국과 중국 (Korea and China)

서식 (Habitat)

햇빛이 잘 드는 산지, 반그늘의 암벽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옅은 자주색 (Light Purple)

개화시기 (Bloom Time)

6월-8월(June-August)

식용 (Edible Uses)

어린 순은 나물로 이용한다.

약용 (Herbalism)

꿩비름류의 뿌리를 제외한 잎과 줄기를 경천(景天)이라 하여 피부의 열과 창상, 습진 등에 쓴다.

조경 (Landscape Uses)

정원과 암석가든에 이용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잎은 육질이며 광택이 있고 달걀모양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기타 (Miscellaneous)

같은 속의 식물인 둥근잎꿩의비름은 한국원산으로 진홍빛 꽃과 둥근 잎이 독특하다.
큰꿩의 비름, 양재천 Showy Stonecrop, LG-F570S, July 18, 2018 © DragonBlossom
created in July 19, 2018.revised in July 7, 2020.

1. "Hylotelephium."wikipedia.org. accessed July 7, 2020.2. "Zingiber spectabile."wikipedia.org. accessed July 7, 2020.3. Edward Smedley, Hugh James Rose, Henry John Rose. Encyclopaedia Metropolitana.B. Fellowes, 1845.4. "Telephus."wikipedia.org. accessed July 7,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