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똥풀, 옥정동 Asian Greater Celandine,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학명의 어원 (Etymology)
큰 아시아 애기똥풀Chelidonium means swallow and may be a reference to coincidence of appearance of the first flowers of Greater Celandine flowers and the arrival of Swallows in Northern Europe, in late spring. 1라틴어로 제비를 의미하는 khelidon 에서 유래한 애기똥풀속의 이름이다. 북유럽에서 이 꽃이 피면 제비가 오고 꽃이 지는 10월에는 떠나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majus in Latin means 'major' 라틴어로 크다는 뜻의 종소명이다. 작은 애기똥풀로 불리우는 Lesser celandine, Ficaria verna 에 비해 키가 훨씬 크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생명력이 강해 양귀비과 식물들 중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다.asiaticum in Latin means 'asiatic', of/connected with Asia. '아시아의' 라는 변종명이다.
과 (Family)
양귀비과 (Papaveraceae)
생육기 (Life Cycle)
두해살이 들풀 (Wild Herbaceous Bi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줄기를 자르면 애기의 똥같은 냄새나는 노란액체가 흐른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줄기에서 유액이 나오기 때문에 젖풀이라고도 하고 열매가 가늘게 여러 개가 올라오는 모습을 표현하는 까치다리라고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고개초라고 하고 중국이름은 산에 나는 노란 연꽃이라는 의미의 산황련(山黃連)이다. 그 외에 씨아똥, 극락초라는 이름도 있다. 영어이름으로는 Greater Celandine, Nipplewort, Swallowwort 가 있다.
꽃말 (Floriography)
엄마의 사랑과 정성 (Mother's love and dedication) 또는 몰래 주는 사랑
원산지 (Origin)
유럽,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Europe, Northern Africa, and Western Asia)
서식 (Habitat)
양지바른 숲 가장자리, 공터, 시골의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노란색 (Yellow)
개화시기 (Bloom Time)
5월-8월 (May-August)
식용 (Edible Uses)
어린 순은 삶아 물에 담가 우려낸 뒤 식용하나 독성이 있으므로 어린 순이 아닌 것은 먹지 않는다. (Use baby leaf only, and mostly not recommended for its toxicity)
약용 (Herbalism)
애기똥풀의 꽃이 필 무렵에 채취한 지상부를 건조한 것을 백굴채(白屈菜)라 하여 소식약 (消食葯) 으로 소화불량으로 인한 복통에 사용한다.2 살균효과가 있어 풀을 짓이겨 가려운데 바르면 습진, 사마귀, 무좀에 많이 사용한다. 진통제로도 쓰이지만 유독해서 최근에는 잘 쓰지 않는다.w4
농업용 (Agricultural Uses)
즙을 짜서 물과 섞어 뿌리면 진딧물을 없앨 수 있어 천연 농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전체가 분을 바른 듯 흰 색을 띄며 흰 깃털이 있다. w1꽃이 피어있는 기간이 길며 꽃잎은 네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