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고들빼기 Indian Lettuce

왕고들빼기, 한강 Indian Lettuce, iPhone5s, September 23, 2018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Lactuca indica L.

학명의 어원(Etymology)

인도 왕고들빼기Lactucafrom Latin lac 'milk, 우유' and‎ -ūcus 'suffix common to several plant names. 라틴어로 우유라는 뜻의 lac와 식물이름에 붙는 접미사 -ūcus 의 합성어로 우유가 함유되어 있는 식물이라는 뜻의 왕고들빼기속의 이름이다. 우유는 왕고들빼기속의 잎을 자르면 나오는 흰 즙을 의미하는데 식용 상추 Lactuca sativa 의 영어이름이 lettuce 인 것과 같은 이유이다.indicain Latin 'relating to India’ 라틴어로 '인도의' 라는 의미의 종소명이다.

과 (Family)

국화과 (Asteraceae)

생육기(Life Cyle)

두해살이 들풀 (Herbaceous bi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큰 고들빼기라는 의미이다. 고들빼기는 19세기에 황비수의 책인 '명물기략(名物紀略)'에서 고도(苦荼 쓴 맛나는 차, 씀바귀의 옛 이름)라는 이름이 고독바기가 되었다고 기록하였는데 이후 고독바기가 변해 고들빼기가 되었다.w3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쓴 맛이 나는 음식이라는 의미로 쓴동(餇), 토끼먹이로 주던 풀이라는 의미의 토끼밥, 씀바우, 씀바귀, 백룡두, 고개채, 고마채, 야생채(野生菜), 토와거(土萵苣), 고채(苦菜), 토인삼(土人參) 이 있다.

꽃말 (Floriography)

모정 (Mother's love)

원산지 (Origin)

중국, 대만, 일본남서부 (China, Taiwan and southern Japan)[1]

서식(Habitat)

낮은 산과 들판의 양지바른 풀밭이나 밭둑, 길가에 산다.

꽃색상 (Bloom Color)

흰색(White)

개화시기 (Bloom Time)

7월-9월 (July-September)

식용 (Edible Uses)

쌈, 겉절이, 김치, 장아찌, 나물, 묵나물, 효소, 뿌리 생무침으로 이용한다.

약용 (Herbalism)

산에서 나는 상추라는 뜻의 산와거(山萵苣) 또는 피를 잘 돌게 한다는 의미의 활혈초(活血草)라 한다. 고들빼기류는 모두 약의 스승이라는 의미에서 약사초(藥師草)라 부른다. 장기의 염증에 쓰며 피를 맑게 하는 칼륨이 들어있다. 종기와 악창에 찧어 붙이고 소화제로 먹기도 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뿌리가 긴 고들빼기와 달리 뿌리가 퉁퉁하고 갈라지며 잔뿌리가 많다. 고들빼기처럼 잎이 가지를 감싸지 않고 고들빼기와 왕고들빼기 둘 다 뿌리를 자르면 흰 유약이 나온다. 무엇보다 고들빼기는 노란색꽃이고 왕고들빼기는 흰색과 노란색의 꽃으로 통상화 부분이 눈에 띄기 쉬워 꽃가루받이가 용이하다.

기타 (Miscellaneous)

마당에 상추처럼 심어놓고 계속 뜯어 먹을 수 있는 들꽃이라 한다.
왕고들빼기, 한강 Indian Lettuce, iPhone5s, September 23, 2018 © DragonBlossom
왕고들빼기, 한강Indian Lettuce, iPhone5s, September 23, 2018©김혜경DragonBlossom
created in December 9, 2018.revised in July 5, 2020.revised in September 29, 2022.
1. "Lactuca indica."Florafaunaweb.accessed July 5.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