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레옥잠 Common Water Hyacinth

부레옥잠, 신세계강남점옥상정원 Common Water Hyacinth, iPhone 5s, June 27, 2018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Eichhornia crassipes (Mart.) Solms

학명의 어원(Etymology)

잎자루가 부푼 히야신스Eichhornia 독일인 정치가 Eichorn(1779~1856)의 이름을 기념한 히야신스속의 이름이다.crassipes from Latin crassipēs 'thick' and pēs 'foot' 두꺼운 발이라는 의미로 부레가 달린 것 같은 잎자루를 묘사하는 종소명이다.

과(Family)

물옥잠과 (Pontederiaceae)

생육기 (Life Cycle)

여러해살이 풀꽃(Herbaceous Perennial)-여러해살이지만 물옥잠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추운 겨울을 나지 못해 한 해만 살고 죽는다.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물고기의 내장 중 물에 뜨게 하는 부레가 달린 것 같은 옥잠라는 의미이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바람결에 배를 띄운 것 같다는 의미의 배옥잠, 풍선을 띄운 것 같은 란이라는 의미의 풍선란, 부대처럼 무리지어 다닌다는 의미의 부대물옥잠, 혹을 많이 달고 있는 것 같다는 의미의 혹옥잠, 정착하지 않고 떠다니는 모습을 묘사한 부평초가 있다. 중국이름인 봉안련은 봉황의 눈을 닮은 노란 무늬를 의미하는 이름이다. 북한 이름으로 풍옥란도 있다.

꽃말 (Floriography)

승리, 조용한 사랑, 흔들리는 기억

원산지 (Origin)

브라질 아마존 지역 (Brazil)

서식 (Habitat)

논이나 못에서 물에 뜬채로 크게 무리를 이루어 자라고 브라질과 같은 열대지방에서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연보라 (Light Purple)

개화시기 (Bloom Time)

8월-9월(August-September)

식용 (Edible Uses)

대만에서는 카로틴이 풍부한 채소로 이용한다.

한방이름 (Herbalism)

수호로(水葫蘆)라 하여 전체와 뿌리를 생약으로 쓴다.

조경 (Landscape Uses)

수조나 연못에서 키우면 쉽게 죽지않고 질소와 인을 빨아들여 수질을 정화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줄기에 부레처럼 둥근 공기주머니를 달고 물에 떠서 산다. 번식력이 강해 특정지역에서는 생태교란종이기도 하며 왕성하게 성장하기 때문에 바이오매스로 이용되기도 한다.

기타 (Miscellaneous)

수질정화능력으로 물을 깨끗이하기 위해 이용하는데 겨울을 나기 전에 걷어내지 않으면 수중에서 부패하여 재오염되므로 주의한다. 걷어낸 부레옥잠은 퇴비로 활용하고 일부는 실내에서 월동하여 다음해에 심는다.
부레옥잠, 신세계강남점옥상정원 Common Water Hyacinth, iPhone 5s, June 27, 2018 © DragonBlossom
부레옥잠, 신세계강남점옥상정원 Common Water Hyacinth, iPhone 5s, June 27, 2018 ©김혜경 DragonBlossom
created in January 1, 2019revised in July 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