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꽃다리 Korean Early Lilac

수수꽃다리, 양재천 Korean Early Lilac,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

학명의 어원 (Etymology)

넓은 타원형 잎 수수꽃다리Syringa from Greek myth Syrinx and means'pipe, tube' 그리스 신화의 님프의 이름인 시링크스에서 유래하며 '튜브'또는 '파이프'라는 의미를 지닌 수수꽃다리속의 이름이다. 신화에서 목신인 팬이 쫒아오자 갈대로 변했고 팬은 그 갈대로 그녀를 기념하여 플롯을 만들었다고 한다.oblata from Latin oblatus meaning 'somewhat flattened at the ends, oval, oblate'. '타원형의' 라는 의미의 종소명이다.var. dilatata in Latin means 'expanded' 라틴어로 '넓어지는', '팽창하는', '잎이 넓은'이라는 뜻이며 변종의 성격을 표현한다.

과 (Family)

물푸레나무과 (Oleaceae)

생육기(Life Cycle)

넓은잎 갈잎 떨기나무 (落葉/闊葉/灌木, deciduous broad-leaved shrub)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수수꽃다리는 꽃이 마치 수수꽃처럼 달린다는 의미이고 영어이름인 Korean Early Lilac 은 일찍 피는 한국산 라일락이라는 뜻이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넓은잎정향나무, dilatata lilac, early blooming lilac, broadleaf lilac.

꽃말 (Floriography)

젊은 날의 초상, 아름다운 언약

원산지 (Origin)

한국 (Korea)

서식(Habitat)

산기슭 양지의 석회암 지대에서 자생한다.

꽃색상(Bloom Color)

보라색 (Purple)

개화시기 (Bloom Time)

4월 (April)

식용 (Edible Uses)

비슷한 식물인 중국산 정향 (Syzygium Aromaticum)의 열매는 향신료로 쓰인다.

조경용 (Landscape Uses)

원래 중부이북에서 자생하기 때문에 더위에 약해 중북부 지방의 정원수와 공원수로 심는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꽃잎 밑에 원통부분인 화관의 길이가 유럽산인 서양수수꽃다리나 중국산의 정향보다 길고 잎이 세로보다 가로가 길다. 꽃은 서양 수수꽃다리보다 1주일 정도 일찍 피는데 특유의 달콤한 향기가 있다.

기타 (Miscellaneous)

1947년 엘윈 M. 미더 (Elwin M. Meader)가 도봉산 바위 틈에서 자생하던 Syringa Patula를 미국에서 개량 후 비서의 이름을 딴‘미스김 라일락(Miss Kim Lilac)’이라는 세계적인 품종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w4
수수꽃다리, 양재천 Korean Early Lilac,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수수꽃다리, 양재천 Korean Early Lilac,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수수꽃다리, 양재천 Korean Early Lilac,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수수꽃다리, 양재천 Korean Early Lilac,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수수꽃다리, 양재천 Korean Early Lilac,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created in October 00, 0000revised in July 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