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선화 Daffodil

수선화, 양재천 Daffodil, LG-F570S, April 16, 2017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

학명의 어원(Etymology)

작은 컵 중국 수선화Narcissusvia Latin from Greek narkissos, perhaps from narkē ‘numbness’, with reference to its narcotic effects.1 그리스어의 narkissos 에서 유래한 수선화속의 이름이다. 그리스어의 어원이 무감각하다는 뜻의 narkē 로 추측하는데 수선화에 환각효과와 관련한 추정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물의 신의 아들인 나르키소스는 님프 에코의 사랑을 외면하였는데 요정의 복수로 호수에 비친 자기 모습에 반해 그 자리에서 오래 쳐다보다가 수선화 꽃이 되었다 한다.tazettain Italian 'little cups' 이탈리아어로 작은 컵을 의미하는데 안쪽 꽃잎의 트럼펫 같은 노란 부분이 컵을 닮아 지어진 종소명이다.f. chinesisin Latin 'from china' '중국산의'라는 의미의 변종명이다.

과 (Family)

수선화과 (Amaryllidaceae)

생육기 (Life Cycle)

여러해살이 풀꽃 (Herbaceous Per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원래는 물신의 창포라는 의미에서 수선창(水仙菖)이라고 불리웠다고 한다. 수선화(水仙花)는 한자로 물신(God of the Water)의 꽃이라는 뜻이며 물가에서 자라는 속성을 의미한다. 영미권에서는 봄에 처음 피는 꽃이기 때문에 재탄생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흰 꽃잎 위에 금색 술잔 모양의 노란 꽃잎 때문에 금잔옥대(金盞玉臺), 금잔은대(金盞銀臺)라고 불렀으며, 견산, 제주수선, 설중화, 수선, 겹첩수선화라고도 한다. 영문명으로 Cream Narcissus, French Daffodil, Jonquil, Narcissus, Polyanthus Narcissus, Tazetta, Tazetta Daffodil 가 있다.

꽃말 (Floriography)

자기애 (narcissism, self-love)

원산지 (Origin)

중국 (China), 1934년 일본에서 간행된 '만선식물(滿鮮植物)'에 원래부터 조선과 만주에서 즐겨 재배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3

서식(Habitat)

습지(marsh) 에서 서식한다.

꽃색상 (Bloom Color)

흰색, 노란색(White, Yellow)

개화시기 (Bloom Time)

12월-3월(December-March)

약용 (Herbalism)

꽃은 수선화(水仙花), 알뿌리인 비늘줄기는 수선근(水仙根)이라하여 약용한다.1 옛날에는 꽃으로 향유를 만들어 사용했다고 한다.3

조경 (Landscape Uses)

연못가나 화단, 화분에 심고 꽃꽃이용 절화로도 이용한다. 알뿌리는 꽃이 피는 해 이전인 9월-10월에 미리 심어야 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양파모양의 뿌리줄기에 비늘줄기가 길고 둥글며 껍질은 검은색이 돌고 흰색의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잎은 가늘고 길어 난초처럼 모여나며 1-2월에 잎 사이에서 30cm 정도의 꽃대가 나와 끝에 향기로운 꽃이 달린다. 6개의 흰 꽃잎과 노란색의 부화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종마다 부화관의 크기와 색상,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3

기타 (Miscellaneous)

옛날에는 제주도나 거문도에 많이 피어나는 잡초로 여겨 밭에 나는 것은 뽑이 버리거나 가축의 사료로 이용했다고 한다. 꽃은 청초하고 향기가 그윽하며 눈이 내리는 추위에도 꽃을 피우기 때문에 예로부터 선비들이 좋아했다고 한다. 특히 퇴계이황이 수선화를 좋아해 중국에 사신으로 가는 이에게 부탁하여 어렵게 구해 심었는데 제주도에 가보니 지천에 널려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제주도의 수선화는 거문도처럼 금잔은대가 아니라 노란 꽃잎의 부화관이 흰꽃잎과 섞여 난다. 3월의 탄생화이며 10년째 결혼을 축하하는 꽃이다.
created in May 30, 2018.revised in July 8, 2020.
1. "narcissus."Lexico.accessed July 8, 2020.2. "수선화."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accessed July 8, 2020.3. 김태정. 우리꽃백가지1.현암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