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가시상추 Prickly Lettuce*
가시상추, 한강 Prickly Lettuce, iPhone5s June 6, 2018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Lactuca scariola .L학명의 어원 (Etymology) 엷은 잎 왕고들빼기
Lactuca from Latin lac 'milk' and -ūcus 'suffix common to several plant names'. 라틴어로 우유라는 단어에 식물의 이름에 붙는 라틴 접미사가 더해져 '우유가 들어있는 식물' 이라는 의미를 지닌 왕고들빼기속의 이름이다.scariola from Latin 'scariósus' 엷은 막질로 되어 있다는 의미로 가시상추의 잎이 얇은 특징을 묘사하는 종소명이다.과 (Family) 국화과 (Compositae) 생육기 (Life Cycle) 한두해살이 풀 (Deciduous Herbaceous Annual or Bi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잎과 줄기에 가시가 줄지어 나기 때문에 가시가 붙어 있는 상추라는 의미이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 들상추 (野莴苣), wild lettus, milk thistle, compass plant, scarole, wild opium.
원산지 (Origin) 유럽 (Europe) 서식 (Habitat) 황폐한 곳의 시멘트 바닥의 열기가 있는 곳이나 해가 내가 쬐는 들에서 자란다. 해가 내리 쬐면 보통식물과 달리 잎을 지표면과 90도가 되도록 남북방향으로 뒤틀어서 태양과 바닥의 열기를 견딘다. 꽃색상 (Bloom Color) 노란색 (Yellow) 개화시기 (Bloom Time) 7월-9월 (July-September) 식용 (Edible Uses) 어린 잎과 순은 식용한다. 약용 (Herbalism) 최근 충치와 치주염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줄기가 곧게 서고 잎은 어긋나기이며 잎 자루가 없다. 잎의 가장자리와 뒷면 주맥에 가시가 열지어 난다. w1 기타 (Miscellaneous) 식용상추 Lactuca sativa 의 야생종이며 동물에게 맛있는 식물이라 뜯어 먹히지 않기 위해 억센구조로 진화했다고 한다. 한해살이임에도 불구하고 2m 정도까지 깊게 뿌리를 내리며 재배지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잎이 남북방향을 가리키므로 나침반식물(Compass Plant)로 분류되며 로제트잎 구조로 겨울을 난다. 가시상추, 한강 Prickly Lettuce, iPhone5s June 6, 2018 © DragonBlossom 가시상추, 한강 Prickly Lettuce, iPhone5s June 6, 2018 © DragonBlossom 가시상추, 한강 Prickly Lettuce, iPhone5s June 6, 2018 © DragonBlossom 가시상추, 한강 Prickly Lettuce, iPhone5s June 6, 2018 © DragonBlossom created in February 6, 2019
revised in July 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