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Rigid-branch Yew

주목, 옥정동 Rigid-branch Yew, HWL, October 15, 2022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Taxus cuspidata

학명의 어원 (Etymology)

뾰족한 주목Taxus from Latin meaning 'yew tree,' is probably borrowed via Greek Taxša, the Scythian word for yew and bow. 스키타이어에서 유래하여 그리스어를 거쳐 라틴어로 주목과 활을 의미하는 주목속의 이름이다. 서양에서 석궁의 재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활을 의미하기도 한다.w4
cuspidata from Latin cuspidātō meaning having a cusp, tip or point; cusped, pointed.t1 '끝부분이 뾰족한' 이라는 의미의 종조명이다. 영어단어로 cuspiadate 와 같은 뜻이다.

과 (Family)

주목과 (Taxaceae)

생육기 (Life Cycle)

늘푸른 침엽 큰키나무 (常綠/針葉/喬木, evergreen large shrub)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주목 (朱木) 은 한자어 이름으로 나무줄기의 껍질과 속이 붉은 색을 띄는 나무 라는 의미이다.1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적백송, 자삼, 수송, 적목, 경복, 화솔나무, 노가리나무, Japanese yew, Spreading yew.w4

원산지 (Origin)

한국과 중국 일본 (Korea, China, Japan)

서식 (Habitat)

들이나 산기슭에서 저절로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흰색 (White)

개화시기 (Bloom Time)

5월-6월 (May-June)

식용 (Edible Uses)

나무의 새순과 열매를 식용한다.

약용 (Herbalism)

주목의 주피와 잎을 자삼(紫衫)이라하고 이수삼습약(利水滲濕藥)으로 사용한다. 혈당강하작용과 항암작용을 하는데.2 특히 줄기에는 적은 양이지만 암을 고칠 수 있는 물질인 '택솔(taxol)'이 있다.w4붉은 열매는 검게 익으며 맛이 쓰고 독이 있으며 약용한다.w1

조경 (Landscape Uses)

잎이 빡빡하게 빈틈을 채우기 때문에 생울타리로 많이 쓰이며 수형이 아름다와 조경수로도 많이 쓰인다. 전정으로 수형을 다듬어 조각하는 토피어리로도 이용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진한 녹색의 평평하고 피침형의 잎을 지닌 상록수 또는 상록관목이다. 9월~10월에 지름 8mm 정도의 붉은 열매가 달리는데 한쪽이 뚫린 공 모양이며 안에 약 5mm 정도의 씨앗이 들어있다.w4

기타 (Miscellaneous)

조선시대에는 붉은 줄기에서 채취한 염료로 궁녀들의 장신구나 왕의 곤룡포를 염색하는데 사용했다.w4 붉은 수피와 심재는 고급 장신구나 가구재로도 이용된다. 느리게 자란다는 의미로 '천년주목'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목재의 색깔이 곱고 아름다와 많이 베어 사용하여 오래된 주목은 관리하여 보호한다.1
주목, 옥정동 Rigid-branch Yew,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주목, 문래동 Rigid-branch Yew, LG-F570S, January 22, 2019 DragonBlossom
주목, 문래동 Rigid-branch Yew, LG-F570S, January 22, 2019 DragonBlossom
created in May 14, 2019revised in July 02, 2020revised in July 24, 2020revised in October 15, 2022
1. 윤주복. 나무해설도감.진선출판사, 2019.2. 윤경원.김무열. 한국약용식물도감.해진미디어,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