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름잎 Japanese Mazus

주름잎, 옥정동 Japanese Mazus, Okjung-dong, iPhone5s, May 05, 2020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Mazus pumilus (Burm. f.) Steenis

학명의 어원 (Etymology)

난장이 주름잎 Mazus from Greek mazos 'teat' 그리스어로 젖꼭지라는 뜻으로 화관의 닫힌 아래 흰색 부분의 동그란 결절 모양을 의미하는 주름잎속의 이름이다.[1] pumilus from Latin púmĭlus 'dwarf' 라틴어로 '난장이의'라는 뜻의 종소명이다.

과 (Family)

현삼과 (Scrophulariaceae)

생육기/형태 (Life Cycle/Type)

한두해살이 들풀 (Wild Herbaceous Annual or Bi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잎 가장자리에 주름 처럼 보이는 결각이 있어 '주름잎'이라고 부른다.w10

다른이름 (Other Name)

고초풀, 담배깡랭이, 담배풀, 선담배풀, 통천초, 일본통천초, 고추풀, 주름잎풀w1

꽃말 (Floriography)

나는 너를 잊지 않는다[2]

원산지 (Origin)

동남아시아 (South East Asia)

서식 (Habitat)

길가의 콘크리트 틈이나 밭, 강둑 같은 습한 곳에서 자라고 일본에서 흔한 들꽃이다.

꽃색상 (Bloom Color)

연보라색 (Light Purple) 반점의 흰색 (White)

개화시기 (Bloom Time)

5월-8월 (May-August)

식용 (Edible Uses)

꿀벌을 키우기 위한 밀원식물이며 어린순은 나물로 한다.

약용 (Herbalism)

주름잎과 누운주름잎, 선주름잎의 식물체 전체를 녹란화(綠蘭花)라 하며 약용한다.w1

주요특징 (Key Features)

곧게 서고 기부에서 가지가 뻗지 않으므로 누운주름잎과 구별된다.w1

기타 (Miscellaneous)

1년생이기 때문에 가을에 종자를 받아 이른 봄에 뿌린다. 음지만 아니면 어느 곳에서나 잘 자라고 물 관리는 3~4일 간격으로 준다. w1 여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생풀을 쓴다. 소염, 해독, 소종의 효능이 있으며 월경이 잘 나오게 하는 통경작용도 한다. 적용질환으로는 월경불순, 종기, 화상 등이다. 월경불순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말린 약재를 1회에 5~10g씩 200cc의 물로 뭉근하게 달여서 계속 복용한다. 종기의 치료를 위해서는 생풀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고 화상을 입었을 때에는 말린 약재를 곱게 가루로 빻아 뿌린다.w1
주름잎, 옥정동 Japanese Mazus, iPhone5s, May 17, 2019 ⓒDragonBlossom
주름잎, 옥정동 Japanese Mazus, Okjung-dong, iPhone5s, May 05, 2020 DragonBlossom
주름잎, 옥정동 Japanese Mazus, Okjung-dong, iPhone5s, May 05, 2020 DragonBlossom
주름잎, 옥정동 Japanese mazus, Okjung-dong, iPhone5s, July 22, 2019 DragonBlossom
주름잎, 옥정동 Japanese Mazus, Okjung-dong, iPhone5s, July 22, 2019 DragonBlossom
created in August 16, 2019 created in June 14, 2020

[1] http://wisflora.herbarium.wisc.edu/taxa/index.php?taxon=9575 [2]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mii2000&logNo=220954602074&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