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제비꽃 Seoul Violet

서울제비꽃, 인사동 Seoul Violet, Insa-dong, iPhone5s, March 18, 2019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Viola seoulensis Nakai

학명의 어원 (Etymology)

서울 제비꽃Viola in Latin 'purple' 라틴어로 보라색을 의미하며 꽃이 보라색으로 피는 제비꽃속의 이름이다.seoulensis '서울의' 라는 뜻의 라틴 종소명이다.

과 (Family)

제비꽃과 (Violaceae)

생육기/형태 (Life Cycle/Type)

여러해살이 풀 (Wild Herbaceous Per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서울에서 자라는 제비꽃이라는 의미이다. 제비꽃은 겨울나러 갔던 제비가 돌아올 무렵 피는 꽃 또는 모양과 빛깔이 제비를 닮았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다른이름 (Other Name)

서울오랑캐

원산지 (Origin)

한국 (Korea)

서식 (Habitat)

비옥한 사질양토, 볕이 잘 드는 산에서 자란다. w4

꽃색상 (Bloom Color)

보라색 (Purple)

개화시기 (Bloom Time)

4월-5월 (April-May), 다화성(多化性, multivoltine)

식용 (Edible Uses)

연한 어린잎은 데쳐 나물로 먹는다.

약용 (Herbalism)

제비꽃과 같은 속의 비슷한 식물의 전초를 자주색꽃이 땅에 정자모양으로 난다는 뜻의 자화지정(紫花地丁)이라 하고 청열약(淸熱藥)으로 사용한다. 해독과 소염작용을 하며 전두초(箭頭草), 독행호(獨行虎), 양각자(羊角子), 미포대(米布袋), 地丁草(지정초)라고도 한다.1

조경 (Landscape Uses)

들풀로 자생하지만 가정용 화단을 꾸미는데 이용한다. w1 햇볕이 드는 암석 주변에서 잘 자라로 돌계단이나 암석화단에 이용할 수 있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꽃잎은 보라색 또는 연보라색이고 짙은 보라색의 맥이 있으며, 조각의 안쪽에 털이 있다. 제비꽃에 비해 잎이 넓고 털이 많으며 난상 피침형으로, 꽃잎은 안에 털이 없음. 털제비꽃과 비슷하나, 털제비꽃보다 잎은 긴 타원형, 넓은 피침형, 자줏빛이 안돌고, 꽃이 보라색이다.w4

기타 (Miscellaneous)

한국특산종으로 경기지역에 분포한다.w4
created in August 19 , 2019created in June 14, 2020

1. 윤경원.김무열. 한국약용식물도감.해진미디어,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