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레이디스탠리', 옥정동 Rose of Sharon 'Lady Stanley', iPhone5s, July 23, 2019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Hibiscus syriacus L. 'Lady Stanley'
학명의 어원 (Etymology)
시리아 무궁화Hibiscus from Latin hibiscum, 'marshmallow plant' from Greek hibiskos 'mallow' a word of unknown origin, perhaps from Gaulish. '습지에서 나는 아욱'이라는 뜻의 무궁화속의 이름이다. t5syriacus '시리아의'라는 뜻의 종소명이다. 시리아 원산이라는 뜻이 있으며 명명 당시 시리아에 있던 정원에서 주로 채집되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w4Lady Stanley19세기 초반 캐나다의 여성인권운동가 Henrietta Stanley를 기념한 품종이름인 것으로 추정된다.
풍요로운 진흙에서 자라는 나무라는 의미의 목근화(木槿花),경제적으로 궁핍하지 않다는 의미로 무근화(無窮花), 근화(槿花), 순화(蕣華), 목근(木槿), 목금(木錦), 부용수(芙蓉樹), 고송화(苦松花), 백근화(白槿花), 무궁화나무로 불리우며 신라시대에 스스로를 무궁화가 많은 나라라는 의미로 근역(槿域) 또는 근화향(槿花鄕)이라고 불렀다고 한다.1북미에서는 Rose of Sharon, 영국에서는 Rose Mallow, 이탈리아에서는 St Joseph's rod 로 불리우며 그 외에 Syrian Ketmia, Shrub Althea, Rose Mallow라는 이름이 있다.
꽃말 (Floriography)
나무의 생명력이 강하고 꽃이 피어 있는 기간이 길어 '영원히 피며 지지 않는 꽃'이라는 꽃말이 있다.1 '섬세한 미'라는 꽃말도 있다.5
원산지 (Origin)
소아시아 (Asia Minor)
서식 (Habitat)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점질 양토가 이상적이다.w1
꽃색상 (Bloom Color)
흰색, 분홍색, 붉은색 (White, Pink, Red)
개화시기 (Bloom Time)
7월-8월 (July-August), 여름에서 가을에 이르기까지 새로 난 가지의 밑에서 부처 위로 차례차례 꽃을 피우며 가지가 자라면서 연달아 꽃을 피워 개화기간이 길다. 그렇지만 꽃 자체는 아침 일찍 피었다가 저녁에 시들고 다음 날 꽃봉오리가 떨어지기 때문에 인생무상함을 일컫는 근화일일지영(槿花一日之榮)이라는 말이 있다. 아침에 피었다가 다음날에 지고 새로운 꽃이 피는 이러한 특성을 체념이 빠르고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민족성과 비슷하다고 한다.5
식용 (Edible Uses)
꽃을 차로 마시며, 서양에서는 잼, 식용색소, 수프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보통 히비스커스 티를 만드는 품종은 로젤 (Roselle) 이라 불리우는 다년생 풀인 Hibiscus Sabdariffa의 꽃과 꽃받침을 사용한다.3
약용 (Herbalism)
레이디 스탠리는 관상용이나 일반적으로 무궁화의 나무껍질과 뿌리의 껍질을 목근피 (木槿皮) 라하여 외용약으로 열을 내리고 해독을 한다.4 뿌리, 잎, 꽃, 열매를 다양한 분야에 약용한다.w1
조경 (Landscape Uses)
무궁화는 가지가 옆으로 뻗지 않고 위로만 자라므로 면적을 차지하지 않아서 어떤 양식의 정원에도 잘 조화되고 경계와 울타리 조성에도 이용한다.w1나무에 영양분이 많아 진딧물이 많이 달라붙어 있어 관리에 유의해야 하며 삽목법에 의해 번식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레이디 스탠리'는 백단심계 계통의 분홍색 무늬가 있는 아사달계로서 겹꽃이다. 꽃이 활짝 피면 꽃잎은 벌어지는 경향이 있고 꽃이 지면 색상이 진해진다. 기본꽃잎은 속꽃잎보다 크고 뚜렷하며 27매 내외의 속꽃잎이 있다.2
기타 (Miscellaneous)
나라꽃인 무궁화는 꽃 색깔에 따라 꽃의 중심에 붉은 반점이 있는 단심계, 순백색의 배달계, 백단심계 계통의 분홍색 무늬가 있는 아사달계 분류된다. 정부가 꽃잎 중앙에 붉은 꽃심이 있는 단심계(丹心系) 홑꽃을 보급 품종으로 정했는데 가장 흔하게 무궁화라고 알고 있는 품종이다.created in September 24, 2019.revised in , August 7,2020 1. "무궁화."행안부.accessed August 7, 2020.2. "무궁화의 종류."홍천무궁화수목원.accessed August 7, 2020.3. "Hibiscus sabdariffa."Plants For A Future.accessed August 7, 2020.4. 윤경원.김무열. 한국약용식물도감.해진미디어, 2016.5. 김태정. 우리꽃백가지1.현암사, 1990.4. 윤경원.김무열. 한국약용식물도감.해진미디어,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