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 마가목Sorbus신맛이 나는 Sorbus domestica의 열매의 이름이 켈드어인 Solb에서 라틴어인 Slbum 으로 발전되었고 마가목의 종속명인 Sorbus 가 되었다. 소르빈산(Sorbin acid)은 덜 익은 열매에 들어있으며 살균효과가 높고 세균이나 곰팡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서 지금은 식품첨가물로 쓰기도 한다.1amurensis러시아 국경에 흐르는 흑룡강을 의미하는 여성형 라틴 종소명이다. 검은 강을 의미하는 러시아어 Аму́р와 몽고어의 강을 의미하는 mur 에서 유래했다.2
과 (Family)
장미과 (Rosaceae)
생육기 (Life Cycle)
넓은잎 갈잎 작은키나무 (落葉/闊葉/小喬木, deciduous broad-leaved small tree)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봄에 나오는 겨울눈이 말의 어금니를 닮은 나무라는 뜻의 마아목(馬牙木) 이라는 이름이 변한 이름이라고 하며 당마가목은 중국산 마가목이라는 의미이다.3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털눈마가목, 마가목은 잡화추, 일본화추, 남등(南藤), 석남등(石南藤) 이라고도 하는데 한자 표기에 대한 논란이 있다. 마아목(馬牙木)에서 변한 이름이라고도 하고 『조선왕조실록』이나 『물명고』등 문헌에서는 말을 닮은 개오동나무라는 의미로 마가목(馬榎木)이라 하고 『열하일기』에는 마가목(馬家木), 『홍재전서』에는 마가목(馬加木)으로 기록했다. 4 영어이름인 Amur Mountain Ash 는 마가목의 잎이 물푸레나무와 비슷한데서 유래했다.w6
꽃말 (Floriography)
마가목의 꽃말은 조심, 신중이라는 꽃말이 있고 함께 있으면 안심이라는 꽃말은 북유럽에서 천둥의 신 토르가 강을 건너다 물살에 휩쓸렸다가 마가목을 붙들고 목숨을 건진데서 생겼다한다. 그래서 노르웨이에서는 배를 건조할 때마다 부적으로 선체에 마가목 판자를 적어도 하나씩은 끼워넣는 전통이 있고 반대로 아이슬란드에서는 이 나무로 만든 배는 쉽게 가라앉고 집을 지으면 무너진다고 한다.
원산지 (Origin)
동아시아와 러시아 (East Asia and Rusia)
서식 (Habitat)
추위에 강하여 산중턱이나 꼭대기 근처의 경사면에서 사는 나무였으나 최근에는 조경수로 많이 쓰여 공원이나 수목원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꽃색상 (Bloom Color)
흰색
개화시기 (Bloom Time)
6월-7월 (May-June)
식용 (Edible Uses)
민간에서 열매를 말려두었다가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5 서양에서는 열매로 마말레이드를 만들거나 핑크페퍼라고 하여 칵테일에 사용한다.w6
약용 (Herbalism)
열매는 마가자(馬家子=마가목 나무 열매), 껍질은 정공피(丁公皮=마가목 나무 껍질)라고 하여 약재로 이용하는데 특히 열매는 널리 알려진 약재이다.6 『동의보감』에는 마가목을 정공등, 남등이라고 하여 풍증과 어혈을 낫게 하고 늙은이와 쇠약한 것을 보하고 성기능을 높이며 허리 침, 다리맥을 세게하고 흰머리를 검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7
조경 (Landscape Uses)
공해에 강하고 굵게 자라는 수종이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낙엽도 아름다운 사계절 관상용으로 잎과 꽃, 열매가 모두 아름다와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농업용(Agricultural Uses)
꿀이 풍부한 꽃은 밀원이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높이가 8m까지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 9~15개로 이루어진 우상복엽이다. 작은 잎은 길이 3~5cm 의 난산 피침형이며 뒷면에는 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돈다. 잎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고 잎자루 끝부분는 줄기를 완전히 감싼다. 열매는 지름 8cm의 구형이며 6~8월에 황적색으로 익는다.8
기타 (Miscellaneous)
마가목은 당마가목에 비해 잎, 꽃차례 축, 겨울눈에 털이 적거나 없는 것이 특징이며 당마가목의 꽃과 열매가 더 큼직하고 풍성하다. 산마가목 (S.sambucifolia (Cham. & Schltdl.) 은 잎의 뒷면이 녹색이며 키가 1~2m로 관목으로 자라며 함경북도의 높은 산지에서 자란다.9당마가목, 옥정동 Amur Mountain Ash,기종미상, 날짜미상 ⓒ DragonBlossomcreated in September 21, 2022.revised in September 25, 2022.1. 새싹이 힘차게 솟아나는 강정제, 마가목.이영일. 우리문화신문. accessed September 21, 2022.2. Amur. WordSense Dictionary . accessed September 25, 2022.3. 김태영·김진석.한국의 나무.경기:돌배개, 2011.4. 박상진.궁궐의 우리나무.서울:눌와, 2001.5. Ibid.6. 이영일, 새싹이 힘차게 솟아나는 강정제, 마가목.7. 박상진, 궁궐의 우리나무.8. 김태영·김진석, 한국의 나무.9. Ib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