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서스 끈끈이장구채 Caucasus Catchfly


학명 (Scientific Name)

silene caucasica Boiss.

학명의 어원 (Etymology)

코카서스 끈끈이장구채silenenamed for Silenus, intoxicated foster-father of Bacchus, god of wine, who was covered with foam, much like the glandular secretions of many species of this genus. 그리스 신화에서 술의 신인 바커스의 양아버지인 시레누스의 이름을 딴 끈끈이장구채속의 이름이다. 신화의 시레누스는 거품에 싸여 있다고 하는데 끈끈이장구채속의 줄기에 있는 분비선과 비슷하다.1caucasicarelating to the Caucasus. white-skinned. '코카시아 지역의', '흰 피부의'라는 뜻의 종소명이다.

과 (Family)

석죽과 (Caryophyllaceae)

생육기 (Life Cycle)

두해살이 풀꽃 (herbaceous bienn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세종대왕 시기인 1433년에 편찬된 향약집성방에는 한글이름으로 당고재라 불렀다 하고 동의보감(1596-1610) 에서는 꽃 아래부분의 씨방이 볼록하고 긴 타원형으로 타악기인 장구의 반쪽 모양의 풀이라는 의미의 장고초(長鼓草)라고 기록했다고 한다.2 장구채는 이두식 한자표기가 장고초이고 음은 한글이름인 당고재가 변화한 이름이라 추측된다.

원산지 (Origin)

터키를 포함하는 코카서스 지역 (Caucasus including Turkey)

꽃색상 (Bloom Color)

흰색 (White)

개화시기 (Bloom Time)

장구채속은 대부분 7월을 전후로 꽃을 피운다.

약용 (Herbalism)

야생종인 끈끈이장구채 Silene firma 와 같은 속의 비슷한 식물의 열매가 익었을 때의 지상부를 왕불류행 (王不留行) 이라 하며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 으로 약용한다. 해열, 이뇨, 활혈과 최유작용을 한다. 맥람자(麥藍子), 장고초(長鼓草)라고도 한다.3

조경 (Landscape Uses)

암석가든에 어울린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긴 잎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매끈하다. 꽃은 줄기 끝에 모여나며 꽃잎은 다섯 개로 이루어진다. 개별 꽃잎에는 주름이 약간 있으며 한 번 갈라진다.

기타 (Miscellaneous)

꽃이 흰장구채를 닮았으나 줄기와 잎의 모양은 다르다. 야생종은 왜소하고 꽃이 작다. 사진은 흰장구채와 비슷한 원예종으로 추측된다.
코카서스 끈끈이장구채, 서초동 Caucasus Catchfly , iPhone5s, May 4, 2019 © DragonBlossom

created in October 27, 2019revised in July 7, 2020revised in July 29, 2020

1. "Silene Vulgaris."Flora of Wisconsin.accessed July 7, 2020.2. "조선식물향명집 읽기/장구채."Flora of Wisconsin.published May 1, 2017. accessed July 7, 2020.3. 윤경원.김무열. 한국약용식물도감.해진미디어,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