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나물, 옥정동 Henbit Dead-nettle,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Lamium amplexicaule L.
학명의 어원 (Etymology)
꽃받침이 줄기를 감싼 광대나물Lamium from (assumed) Greek lamion, diminutive of lamia 'monster 괴물' t2그리스어에서 괴물을 의미하는 '라미아' 와 같은 뜻으로 라미아는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포세이돈의 딸이었다. 신화에 의하면 제우스와 라미아가 밀회한 것을 알아챈 헤라가 라미아가 잠을 자지 못하게 괴롭혔고 제우스는 라미아가 스스로 눈을 뽑을 수 있게 했다고 한다. 후에 라미아는 반은 여인이고 반은 뱀인 괴물로 전해지는데 젊은이를 유혹한 뒤 그의 살을 먹는다고 한다. 서양에서는 아이들을 훈육할 때 겁주는 단어가 되기도 한다. 영국의 시인 키이트(Keats 1795~1821)의 1820년 작품인 Lamia 가 유명하고 그리스 중부의 도시 이름에도 라미아가 있다.w1amplexicaule from amplexus 'clasped 손이나 팔로 감싼' + caulis 'stalk, stem 줄기't1 라틴어로 '꽉 껴안은 줄기의' 라는 뜻으로 줄기에 잎이 돌려나기한 모양을 일컫는다.
과 (Family)
꿀풀과(Labiatae)
생육기/형태 (Life Cycle/Type)
한두해살이 풀 (Wild Herbaceous Bi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꽃이 울긋불긋하여 광대같다는 의미로 지어진 이름이다. 서양문물이 들어오면서 나타난 귀화식물이기 때문에 일제시대인 1919년 무렵 조선농회의 '조선의 구황식물' 부터 문헌에 등장4했다. 꽃과 잎의 모양이 모자를 쓰고 목장식이 있는 옷을 입은 르네상스 시대의0 광대를 닮았다고 추측되지만 이름의 유래라는 근거는 없다.
다른이름 (Other Name)
작은잎꽃수염풀, 긴잎광대수염, 코딱지나물, 작은잎광대수염(북한)으로도 불리우는데 수염이라는 이름이 붙는 이유는 꽃잎 상부에 잔털이 있기 때문이다. 코딱지나물은 꽃의 상부가 길고 기울어진 모양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추측한다. 영어로는common henbit, greater henbit 라고도 한다.
꽃말 (Floriography)
봄맞이
원산지 (Origin)
지중해 주변의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 (Europe, Asia and Northern Africa)
서식 (Habitat)
습한 길가나 밭둑에서 자란다.w1
꽃색상 (Bloom Color)
연자주색(Light Purple)
개화시기 (Bloom Time)
4월-5월 (April-May)
식용 (Edible Uses)
약간 달고 샐러리 같은 맛이 난다고 한다. 어린 순을 겉절이, 초무침, 쌈, 국, 나물로 식용하는데 구황식물이었다.[1]
약용 (Herbalism)
전체를 보개초(寶蓋草)라 하여 약용한다. 보개 (寶蓋)는 불교의 석탑 상부의 장식으로 광대나물 상부의 꽃받침과 잎이 모여 있는 모양과 비슷하다. w1
주요특징 (Key Features)
10~30cm 정도의 크기이다. 잔털이 덮힌 줄기는 네모지고 잎은 마주나기로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는데 줄기를 완전히 감싼다. 꽃대는 거의 없이 5mm 정도의 꽃받침이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줄기에 빽빽하게 돌려난다. 꽃잎 중 윗부분에 잔털이 있다. w1
기타 (Miscellaneous)
광대나물은 조건이 맞지 않아 주변에 수분을 할 곤충이 없으면 맞지 꽃을 피우지 않고 꽃을 닫고 자체적으로 수분을 하고 씨앗을 만든다.광대나물, 옥정동 Henbit Dead-nettle,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광대나물, 옥정동 Henbit Dead-nettle,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광대나물, 옥정동 Henbit Dead-nettle,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광대나물, 옥정동 Henbit Dead-nettle,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광대나물, 옥정동 Henbit Dead-nettle,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created in May 21, 2020revised in June 16, 20201."'광대나물' 이름의 유래 논쟁."레디앙미디어. published July 6, 2018. accessed May 21,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