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단화, 옥정동 Double Flowered Japanese Rose, iPhone5s, May 6, 2020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Kerria japonica f. pleniflora (Witte) Rehder
학명의 어원 (Etymology)
겹꽃 일본 황매화Kerria is named after William Kerr (died 1814), English botanical collector 유럽에 다양한 황매화를 소개한 영국 큐가든의 식물수집가인 윌리암 커의 이름을 기념하는 황매화속의 w4 이며 황매화는 황매화속의 유일한 종이다. japonica means 'from Japan' '일본산의' 18세기에는 일본을 통해 유럽으로 건너갔기 때문에 일본산으로 잘못 전해졌지만 원래 중국산이라고 한다.[1]pleniflora in Latin 'full-flowered' 겹꽃의', '활짝 핀'이라는 의미이며 황매화 품종 중에 'Pleniflora'도 있다. w9, [2](Witte) Rehder
유사종인 황매화가 죽도화(竹島花 대나무섬 같은 꽃)라는 이명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녹색의 줄기가 대나무를 닮아 이름에 대나무를 뜻하는 '죽 竹'자가 붙었다.[3] 홑겹인 황매화와 달리 꽃잎이 겹인 형태만 다르기 때문에 겹황매화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한글이름은 죽도화, 겹죽도화, 겹황매화가 있고 영문이름은 Double Flowered Japanese Rose[1], Kerria Rose, Bachelor's Button, Japanese Rose가 있다. 부활절 시기에 꽃을 피운다는 의미로 Easter Rose 라 불리우기도 한다. 중국 이름은 중판체당(重瓣棣棠)으로 꽃잎이 겹으로 무거운 체리배나무 라는 의미이고 꽃 때문에 가지가 휘어 원을 이루어 지원화(地圓花)라고도 한다.
꽃말 (Floriography)
숭고 (Sublime)
원산지 (Origin)
중국(China)[1]
서식 (Habitat)
민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노란색 (Yellow)
개화시기 (Bloom Time)
4월-5월 (April-May)
식용 (Edible Uses)
꽃은 차로 마신다.
약용 (Herbalism)
꽃과 잎을 채당화(棣棠花)라 하여 약용한다.w1
조경 (Landscape Uses)
가지가 촘촘하게 자라기 때문에 양지바른 언덕이나 담장을 장식하는 정원수로 쓰인다. 특히 가시가 발달하여 침입을 방지하는 울타리로 적합하다. 꽃잎이 다섯 개인 황매화보다 꽃이 풍성하기 때문에 정원수로 더 많이 심는다. 특별한 관리가 없어도 잘 자라기 때문에 손이 닿지 않는 구석에 심기도 한다.w9
주요특징 (Key Features)
뿌리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고 가지가 옆으로 휜다. 봄에 노랗게 덮히는 꽃의 개화기간이 길고 아름다우며 가을에는 노란 단풍으로 관상수로 많이 심는다. 장미과 수목 중에서 그늘에 잘 견디는 수종이며 추위와 공해에도 강하다. w1
기타 (Miscellaneous)
나무를 통으로 자르면 가운데 흰 스티로폼 같은 재질로 채워져 있어 옛날에는 나무 속을 파내어 장난감을 만들었다고 한다. 겹황매화, 옥정동 Double Flowered Japanese Rose, iPhone5s, May 6, 2020 ⓒDragonBlossom겹황매화, 옥정동 Double Flowered Japanese Rose, iPhone5s, May 6, 2020 ⓒDragonBlossom겹황매화, 옥정동 Double Flowered Japanese Rose, iPhone5s, May 6, 2020 ⓒDragonBlossomcreated in May 8, 2020revised in June 8, 2020revised in June 17, 2020revised in July 29, 20201. "Common Name of Kerria Japonica Pleniflora."sfgate. accessed June 8, 2020.2. "Japanese Rose Growing Tips."thespruce. published August 5, 2019. accessed June 8, 2020.3. "죽단화."제주환경일보. published April 17, 2014. accessed June 15,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