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양목 Korean Boxwood

회양목, 옥정동 Korean Boxwood, Okjung-dong,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 Cultivar)

Buxus koreana (Nakai ex Rehder) T.H.Chung, P.S.Toh, D.B.Lee & F.J.Lee

학명의 어원 (Etymology)

한국 회양목Buxusin Latin meaning a box 라틴어로 박스를 뜻하는 회양목속의 이름이며 박스를 만드는데 쓰이는 나무라는 의미이다. koreana'한국의' 라는 뜻의 라틴어이다. (Nakai ex Rehder) T.H.Chung, P.S.Toh, D.B.Lee & F.J.Lee

과 (Family)

회양목과 (Buxaceae)

생육기/형태 (Life Cycle/Type)

넓은잎 늘푸른 작은키나무 (落葉/常綠/小喬木, evergreen broad-leaved small tree)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북한의 강원도 회양(淮陽)의 석회암 비탈에서 많이 자라서 회양목이라는 설과 황양목(黃陽木)이라는 이름이 석회질에서 자라는 특성을 반영해 회양목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5]

다른이름 (Other Name)

도장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나무라 하여 도장나무라는 이름이 있으며 북한에서는 고양나무라 부른다. 목재가 황색이기 때문에 황양목(黃陽木) 이라고도 했으며 회양나무라고도 한다.w4

꽃말 (Floriography)

변함없는 모습으로 '극기와 냉정'이 꽃말이다.w4

원산지 (Origin)

한국 (Korea)

서식 (Habitat)

야생에서 회양목은 석회암 지대에서 무리를 지어 자라기 때문에 석회암 지대의 지표식물이다. 그늘이건 양지건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가뭄과 공해와 추위에 강해서 기르기 쉽다.w4

꽃색상 (Bloom Color)

노란색 (Yellow)

개화시기 (Bloom Time)

3월-4월 (May - April)

약용 (Korean Herbalism)

잎을 약용하는데 어린 가지를 잘라 그늘에 말려 사용한다.[4] 또한 모발제와 강장제로 이용된다.[1]

조경 (Landscape Uses)

공해에 강해 도로변에 차폐식재로 많이 쓰이고 산울타리, 경계식재로 많이 사용된다. 가지와 잎이 치밀하고 전정에 강하여 정원에서 모양을 내는 토피어리 나무로도 쓰인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며 한옥이나 한식정원에 잘 어울린다.[1]

농업 (Agricultural Uses)

이른 봄에 꽃을 피워 향기가 있으며 꽃이 드문 시기에 벌들의 훌륭한 양식이 된다.[2]

기타 용도 (Other Uses)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한 목재가 되어 도장이나 빗, 목관악기, 측량도구, 목판활자을 만드는데 사용했다.w4 조선시대에는 생원이나 진사의 호패를 만들었다. 잎과 수액에서는 향료를 추출한다.[1]

주요특징 (Key Features)

늘 푸르고 광택 있는 작은 잎이 특징이며 늘푸른 나무지만 겨울에는 잎이 붉은색이 도는 갈색으로 변한다. 열매가 열리면 갈색으로 익으면서 세 갈래로 갈라지면서 검은 씨앗이 나온다. 생장속도가 매우 느려 600년~700년 후에 줄기의 지름이 25cm 정도 자란다.[5]

기타 (Miscellaneous)

경기도 화성군 용주사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회양목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그리며 용주사를 지을 때 심은 나무로 200년이 되었다 한다.[4] 1917년 년 윌슨이 관악산에서 채집한 것과 1989년 단양에서 채집하여 미국으로 가지고 간 회양목은 윈터 그린(Winter green), 윈터 뷰티(Winter beauty) 라는 새로운 품종으로 알려지고 있다.w4
회양목, 양재천 Korean Boxwood, Yangjae Stream, LG-F570S, April 10, 2018 ⓒ DragonBlossom
회양목, 옥정동 Korean Boxwood, Okjung-dong,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회양목, 옥정동 Korean Boxwood, Okjung-dong, iPhone, July 21, 2020 ⓒ DragonBlossom
회양목, 옥정동 Korean Boxwood, Okjung-dong, iPhone, July 21, 2020 ⓒ DragonBlossom
회양목, 옥정동 Korean Boxwood, Okjung-dong, iPhone, July 21, 2020 ⓒ DragonBlossom
회양목, 옥정동 Korean Boxwood, Okjung-dong, iPhone, July 21, 2020 ⓒ DragonBlossom
created in April, 2018revised in May 15, 2020revised in July 24, 2020

1. "조선시대 호패 재료로 사용된 '회양목.'"완도신문.published September 21, 2011. accessed June 15, 2020.2. "봄 볕 아래 어디선가 달콤한 꽃향기가 난다면, 회양목."J. Jong.published May 28, 2018. accessed May 15, 2020.3. 김민철. 문학이 사랑한 꽃들;33편의 한국문학 속 야생화 이야기. (주)샘터사, 2013.4. "회양목의 약효;회양나무."White Harmony.published June 15, 2017. accessed May 15, 2020.5. 윤주복. 나무해설도감.진선출판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