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리뱅이 Oriental False Hawksbeard*

뽀리뱅이, 옥정동 Oriental False Hawksbeard, iPhone5s, May 12, 2020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Youngia japonica (L.) DC.

학명의 어원 (Etymology)

일본 뽀리뱅이Youngia 19세기 미국의 식물학자 R. A. Young 의 이름을 기념한 뽀리뱅이속 (융기아속 Youngia) 의 이름이다.t2japonica'일본의' 라는 뜻의 라틴어 (L.) DC. 이 식물의 학명을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Carl von Linné (1707~1778)가 명명했다가 나중에 드 캉돌(Augustin-Pyramus de Candolle(1778~1841)) 이 수정하였다.

과 (Family)

국화과 (Asteraceae)

생육기/형태 (Life Cycle/Type)

두해살이 풀 (Wild Herbaceous Biennial)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뽀리뱅이는 1921년 최초 기록된 이름으로 ‘뽀리’와 ‘뱅이’의 합성어 라는 주장이 있다. ‘뽀리’는 막 돋아나는 모습을 나타내며 ‘뿔, '뾰족', ‘뿌리', ‘불숙’, ‘뽑다’ 따위와 동일어이다.b2 돋아나는 모습이라기 보다는 줄기에 잎이 없이 길게 올라와 불쑥 덩치에 맞지 않는 큰 꽃을 다발로 피우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뱅이'는 그 특성을 가진 사람을 낮게 부르는 접미사로 '앉은뱅이', '주정뱅이'가 그 예이다. 뽀리뱅이가 보릿고개를 넘겨주던 구황식물이어서 보리뱅이라고도 하고 보리밭에서 잘 자리기 때문이라고 하기도 한다.1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박조가리나물, 박주가리나물, 보리뱅이, Japanese youngiaw1

꽃말 (Floriography)

순박b2

원산지 (Origin)

동아시아 (Eastern Asia)이며 현재는 전 세계에 퍼져 있다. w4

서식 (Habitat)

양지바른 들이나 논, 밭둑, 길가, 풀밭 등에서 자라고 w1길가나 담장이나 벽을 기대어 자란다.2

꽃색상 (Bloom Color)

노란색(Yellow)의 꽃잎에 노란색과 갈색이 섞인 수술로 이루어져 있다.

개화시기 (Bloom Time)

4월-5월 (April-May)

식용 (Edible Uses)

어린 순은 데쳐서 된장이나 소금에 무치거나 된장국에 넣어 먹는다. 냉이와 잎 모양이 비슷하지만 크고 냉이와 같은 향과 맛은 없기 때문에 뿌리채 뽑아 소금물에 데쳐 말려서 묵나물로 먹기도 한다. 장아찌나 김치를 담그기도 한다[1]

약용 (Herbalism)

전체나 뿌리를 황과채, 황화채, 황암채(黃鵪菜 노란매추라기풀이라는 뜻, 노란 산방산 원뿔모양의 꽃을 의미하는 이름으로 추측한다.)라 하며 약용하는데 외용으로 찧어 바르거나 생즙으로 양치질을 한다.w1뿌리는 가을철에 채취해 말려 사용한다. 1

농업용 (Agricultural Uses)

사료로 이용하기도 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가을에 발아하여 로제트 잎으로 겨울을 나고 이듬해에 지속적으로 꽃을 피운다. 줄기에는 잎이 거의 없거나 네 장을 넘지 않는다. 줄기와 잎이 부드럽고 약간 주황색이 돈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고 특히 씨앗에 털이 있어 날아다니다가 정착한다. w4 날이 흐리거나 저녁이 되면 꽃잎을 오므리는 습성이 있다.
뽀리뱅이, 옥정동 Oriental False Hawksbear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뽀리뱅이, 옥정동 Oriental False Hawksbear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뽀리뱅이, 옥정동 Oriental False Hawksbear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뽀리뱅이, 옥정동 Oriental False Hawksbeard, iPhone5s, May 12, 2020 ⓒ DragonBlossom
뽀리뱅이, 옥정동 Oriental False Hawksbear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
created in May 13, 2020revised in May 16, 2020
1. 변현단. 숲과 들을 접시에 담다;약이 되는 잡초음식. 들녘,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