빽빽한 점나도나물Cerastium is derived from the Greek word for 'horned', in reference to the shape of its fruit capsule.w4 삭과인 열매의 모양이 뿔을 닮아 '뿔난' 이라는 뜻의 점나도나물속의 이름이다. glomeratum is from the Latin meaning 'having been gathered closely' w4 '빽빽하게 모여있는' 이라는 뜻의 라틴어이다.
과 (Family)
석죽과 (Caryophyllaceae)
생육기(Life Cycle)
한해살이 풀 (Herbaceous Annual) w1 또는 두해살이 풀 (Herbaceous Biennial)w7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유럽산 점나도나물이라는 의미의 이름이다. 점나도나물은 붉은 점이 있는 나물같은 풀이라는 의미이다. 점은 줄기 윗부분의 잎과 꽃받침끝의 붉은 점을 지칭하거나 점처럼 작다는 의미의 접두사라고 한다.b3 '나도'라는 접두사는 원래 다른 종이지만 비슷한 모습의 식물에 붙이는 이름이다. 그 예로 나도냉이, 나도바람꽃, 나도송이풀, 나도옥잠화, 나도풍란 등이 있다. b2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양점나도나물와 끈끈이점나도나물은 북한이름으로 끈끈한 점액성 물질을 분비하는 꽃밭침의 샘털이 점나도나물에 비해 더 많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영어이름으로는 sticky mouse-ear chickweed와 clammy chickweed가 있다. 이름에 weed 가 들어간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처럼 먹는 나물이 아니라 잡초로 보는 것 같다.
원산지 (Origin)
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으로 추정되지만 우리나라에는 북아메리카, 열대아메리카, 일본, 인도 등지에서 온 귀화식물이다.
서식 (Habitat)
버려진 땅이나 벽, 둑 같이 넓은 땅에서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흰색(White)
개화시기 (Bloom Time)
5월-7월(May-July)
식용 (Edible Uses)
봄에 어린 순을 데쳐 나물로 이용하고 된장국이에 넣거나 전을 부치기도 한다 b2. 중국에서도 잎과 싹을 야생식용채소로 이용했다.w4
약용 (Herbalism)
중국에서는 말려서 약용하고 네팔에서는 두통을 완화하기 위해 즙을 짜서 이미에 바르고 코피를 멈추기 위해 코에 떨어뜨렸다.w4
조경용 (Landscape Uses)
이른 봄에 싹을 틔울때에는 지표면에 낮게 자라 지면을 덮는 효과가 있는데 성숙한 이후에는 점액에 다른 식물의 털이 붙어 다소 지저분해진다.
농업용 (Agricultural Uses)
사료로 이용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꽃받침의 샘털과 점액은 곤충이 꽃잎 사이로 들어와 꿀이나 밑씨를 먹지 못하도록 막기 위한 것이라 한다. 꽃가루받이 후 수정이 이루어지면 꽃받침의 점액이 더 이상 분비되지 않고 꽃받침은 오므라들고 암술은 긴 원뿔 모양으로 열매를 만든다. 무게 때문에 아래로 숙여진 열매는 삭과로 씨앗이 익으면 터져서 씨앗을 쏟아낸 뒤 다시 위로 들린다. b4 씨앗은 담갈색이다. 꽃가지에서 적게는 3개에서 많게는 50개까지 꽃이 피는데 5개의 연두색 꽃받침이 5개의 꽃잎보다 커서 꽃잎 사이로 꽃받침이 보인다. 흰색의 꽃잎은 몇 mm 정도 끝이 두 개로 갈라진 모양이다.
기타 (Miscellaneous)
북선점나도나물, 점나도나물, 큰점나도나물과 유사종이다. created in May 18, 0000revised in June 16,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