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말채나무, 옥정동 Tartarian Dogwood, iPhone, July 24, 2020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Cornus alba L.
학명의 어원 (Etymology)
진주 층층나무 또는 석양 층층나무CornusCornus is the ancient Latin word for the Cornelian cherry, Cornus mas.t1 and from Latin cornum meaning 'horn' due to probably curled leaves and its dense and strong properties.w9 유럽산수유나무 Cornus mas.의 라틴 이름이자 뿔을 의미하는 층층나무속의 이름이다. 유럽산수유나무의 잎이 동그랗게 말리는 모양이 동물의 뿔을 닮았기 때문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또는 나무의 목질이 희고 단단하여 뿔 같은 곡면을 지닌 칼을 만드는데 쓰였기 때문에 지어졌다고도 한다.6 한글이름인 층층나무는 나뭇가지가 층층이 단을 이루며 수평으로 뻗는 모양에서 유래한 이름이다.1albafrom albae meaning a white precious stone, the pearl and from Latin albus meaning 'white' and 'dawn' in Spanish.2 It is the Scottish Gaelic name for Scotland and the term refers to Britain as a whole and is ultimately based on the Indo-European root for 'white'. 진주를 의미하는 albae 에서 변화한 명사이며 흰말채나무의 흰색으로 익는 열매를 지칭하거나 겨울에 석양처럼 보이는 가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소명이다. 원래는 흰색을 의미라는 라틴어 albus 의 형용사 형이며 스페인어로는 석양을 뜻한다. 라틴어와 이탈리아에서는 사람의 이름과 성으로 두루 쓰이며 제시카 알바 (Jessica Alba)가 대표적이다. 스페인에서는 강의 이름이기도 하고 고대 유럽의 Alba Longa 처럼 도시 이름이기도 하며 갈레익어로 스코틀랜드를 의미하기도 한다.
말채나무의 가지는 낭창낭창해서 예로부터 말의 채찍으로 쓰여‘말채나무’라는 이름이 지어졌고 늦여름에 열리는 흰 열매 때문에‘흰말채나무'로 불리운다고 한다. 참고로 말채나무 Cornus wlateri는 검은색 열매가 열린다.3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흰말채나무는 붉은말채, 아라사말채나무, 산가막살나무로 불리우기도 하며 영어이름으로는 Red-bark dogwood, Siberian dogwood, White dogwood라고 한다. Dogwood 라는 이름이 생긴 이유는 단단한 목질로 검 dagger-wood 을 만드는데 사용한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열등한 열매가 열린다는 의미라는 설이 있다.6
꽃말 (Floriography)
당신을 보호해 드리겠습니다.
원산지 (Origin)
시베리아, 중국, 한국 북부 (Siberia, Northern China and Korea)5
서식 (Habitat)
토양이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고 북부지방 원산으로 내한성이 강하다.4
꽃색상 (Bloom Color)
황색이 깃든 흰색(Yellowish White)
개화시기 (Bloom Time)
5월-6월 (May-June)
약용 (Herbalsim)
잎을 약용한다.
조경 (Landscape Uses)
꽃과 열매가 아름다와 정원수와 공원수로 좋으며 줄기가 많이 뻗어나오기 때문에 전정하여 생울타리와 경계형성으로 이용한다. 8월~9월에 원형에 가까운 타원의 흰색의 열매가 달린다.4
주요특징 (Key Features)
꽃은 가지 끝에 산방상 취산꽃차례로 달리고 잎은 마주나고 잎맥은 6쌍이다. 여름에는 가지껍질이 녹색이었다가 가을이 되면 붉은색으로 물든다. 4
기타 (Miscellaneous)
가지가 노란 노란말채나무Cornus sericea도 있으며 겨울에 붉은 가지가 흰 눈과 조화를 이루는 'Midwinter Fire', 잎의 색깔에 따라 'Elegantissima', 'Spaethii', 'Sibirica' 같은 다양한 원예품종이 있다. 흰말채나무, 옥정동 Tartarian Dogwoo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흰말채나무, 옥정동 Tartarian Dogwoo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흰말채나무, 옥정동 Tartarian Dogwoo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흰말채나무, 옥정동 Tartarian Dogwoo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흰말채나무, 옥정동 Tartarian Dogwood, iPhone5s, May 05, 2020 ⓒ DragonBlossom흰말채나무, 옥정동 Tartarian Dogwood, iPhone5s, July 22, 2017 ⓒ DragonBlossom흰말채나무, 옥정동 Tartarian Dogwood, iPhone, July 24, 2020 ⓒ DragonBlossomcreated in May 7, 2020revised in July 24, 2020 1. "[우리동네 나무이야기 14] 산딸나무." 사이언스올. published September 15, 2013. accessed June 14, 2020.2. Alba." Wikitionary. accessed July 29, 2020.3. 흰말채나무." 서울숲. accessed July 24, 2020.4. "흰말채나무."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accessed July 24, 2020.5. Cornus alba."Wikipedia.accessed July 24, 2020.6. Dogwood."Oneline Etymology Dictionary.accessed July 27,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