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이끼 Umbrella Liverwort*

우산이끼, 옥정동 Common Liverwort, iPhone5s, May 15, 2020 ⓒ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Marchantia polymorpha L. ,1753

학명의 어원 (Etymology)

다형체 우산이끼Marchantia는 프랑스 식물학자 니콜라 마샹(Nicholas Marchant, botanist (?~1678)) 의 이름을 기린(Marchant+ia) t1 우산이끼속의 이름이다. polymorpha는 '여러가지 형태의' 라는 뜻으로 라틴어의 poly와 morpha 의 합성어이다. poly는 그리스어로 '많음'을 뜻하는 πολύς 에서 유래하였고 morpha는 -morphus '-shaped' (-모양의) 의 복수로서 고대 그리스어의 μορφή (morphḗ, 'shape, appearance') 에서 유래하였다.t2L.스웨덴의 식물학자 Carl von Linné (1707~1778)의 약자이며 우산이끼의 이름을 명명했다. 1753 명명된 연도를 의미한다.

과 (Family)

우산이끼과 (Marchantiaceae)

생육기/형태 (Life Cycle/Type)

선태식물 (Bryophyta, 蘚苔植物)이며 엽상체이다. 엽상체는 몸이 뿌리, 줄기, 잎으로 분화하지 않고 단순한 잎의 형태로 남아 있는 김, 미역, 다시마가 여기에 속한다. b3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암그루인 포자체 모양이 우산살을 닮아서 우산이끼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수그루는 꽃 처럼 보이는 원반 모양이고 지면에서 여러 방향으로 뻗는 엽상체는 잎의 모양으로 자라 여러가지 형태를 보인다. w2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우산이끼, Umbrella Liverwort, Common Liverwort w4

원산지 (Origin)

열대부터 극지대까지 습기가 있는 전 세계에 분포한다.w4

서식 (Habitat)

축축한 둑이나 울타리 주변에서 서식한다. 같은 종의 Marchantia polymorpha var. aquatica는 반은 수생이기 때문에 작은 연못에서도 서식한다.w4

꽃색상 (Bloom Color)

선태류는 꽃을 별도로 피우지 않는다.

개화시기 (Bloom Time)

우산이끼는 암수 딴그루이며 봄에서 여름에 걸쳐 생식 기관인 암그루와 수그루를 만든다.

약용 (Herbalism)

서양에서는 형상유비설(Doctrine of Signatures)의 대표적인 사례로 모양과 촉감이 동물의 간과 닮아서 간질환이나 결핵을 치료한다고 생각했다. 최근에는 무좀 같은 곰팡이균에 강한 성분을 이용하여 손톱이나 피부의 곰팡이균을 치료하는 약을 생산한다.w4

조경용 (Landscape Uses)

산불이나 화재가 났을 때 가장 먼저 자라는 식물이며 토양을 덮어 촉촉하게 만드므로 다른 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w4

농업용 (Agricultural Uses)

미국에서는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을 회복하는 실험에 우산이끼를 사용하였다고 한다.w4

주요특징 (Key Features)

엽상체는 땅 위를 덮으면서 붙어 자라고 배우체가 자라 우산살 모양의 암포기와 꽃모양의 수포기로 자란다. 암포기에서 포자가 만들어져 번식을 하고 엽상체의 컵 모양의 무성아컵에서 만들어지는 무성아에 의해 무성생식을 하기도 한다.w2사진에서 보이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체가 모두 우산이끼의 모습이다.

기타 (Miscellaneous)

이끼는 식물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가장 먼저 육상으로 진출한 식물이다.
우산이끼, 옥정동 Common Liverwort, iPhone5s, May 15, 2020 ⓒDragonBlossom
우산이끼, 옥정동 Common Liverwort, iPhone5s, May 15, 2020 ⓒDragonBlossom
created in May 28, 0000revised in June 14,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