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과 양재천, 중랑천 주변의 식물이름과 용도 Etymologies and usages of common plants around Seoul and Han River.
공유 링크 만들기
Facebook
X
Pinterest
이메일
기타 앱
산사나무 Mountain Hawthorn
산사나무, 옥정동 Mountain Hawthorn, HAL, September 29, 2022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Crataegus pinnatifida Bunge
학명의 어원 (Etymology)
깃털모양잎의 산사나무Crataegusderivatived of the Greek word ‘kratos’ meaning strength, referring either to the hardness of the woody bark (Verma et al., 2007) or to its strong medicinal virtues. '힘센'을 의미하는 그리스어'kratos'에서 파생된 단어로 나무껍질의 단단함이나 이 식물의 효능을 의미한다. 1식물학자 린네가 이름지었다. pinnatifida라틴어 pinnātifidus의 여성형용사단수형으로 영어로도 마찬가지로 pinnatifid 라 읽는다. 잎의 중앙맥을 기준으로 깃털모향으로 골이 파여 다중분할된 형태를 의미한다.
한자의 의미는 '산을 감시하는 나무'라는 뜻이나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 '산에서 자라는 아침의 나무'라는 의미로 소개하고 있고 '산에서 나는 사과'라고 부르다가 산사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서양에서는 나무에 가시가 있어 울타리를 만드는데 많이 쓰였기 때문에 '울타리의 가시'라는 뜻으로 Hawthorn 이라고 한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아가위나무, 질배나무, 동배나무, 애광나무, Chinese haw, Chinese hawthorn, Chinese hawberry
꽃말 (Floriography)
희망
원산지 (Origin)
중국, 극동러시아 (China and Far East Rusia)
서식 (Habitat)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백색 또는 담홍색 (White or Light Pink)
개화시기 (Bloom Time)
4월-5월 (April-May)
식용 (Edible Uses)
열매로 술을 담그거나 차로 마시고 고기나 생선을 조리할 때 조미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매상면주가의 산사춘이 대표적이다. 꼬치에 끼워 설탕에 조리는 중국사탕과자인 탕후루를 만드는 과일이었다고 한다.
약용 (Herbalism)
산사(山査)는 산사나무 및 동속식물의 열매이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hyperoside, rutin, quercetin, vitexin 등과 ursolic acide, tartaric acid, citric acid 성분이 있다. 소식약(消食葯)으로 건위작용, 지사작용, 소화촉진, 구어형작용과 진정작용이 있으며 고혈압 및 고지혈증에 사용한다. 산리홍(山里紅), 홍과(紅果), 북산사(北山査), 적과자(赤瓜子), 산조홍(山棗紅), 홍과자(紅果子), 양구자(羊仇子)는 모두 산사의 이름이다.
조경 (Landscape Uses)
꽃과 열매가 아름다와 정원수로 이용된다.
농업용 (Agricultural Uses)
밀원식물이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높이 6m 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색을 띠며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달걀꼴인데 깃털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양면의 중앙맥과 옆맥에 털이 발달했고 턱잎은 톱니이다. 꽃은 산방꽃차례리며 지름 5~8cm로 꽃잎이 둥글며 꽃받침잎과 더불어 각각 5개, 수술은 20개이며 꽃밥은 붉은색이다. 열매는 지름이 1.5cm로 9월-10월에 붉게 익는다. 전국에 분포하며 주로 경기도에서 자라는 나무이다.
기타 (Miscellaneous)
목재는 목공예품에 이용된다.산사나무, 옥정동 Mountain Hawthorn, iPhone7, May 31, 2020 ⓒDragonBlossom산사나무, 옥정동 Mountain Hawthorn, iPhone7, May 31, 2020 ⓒDragonBlossomcreated in June 14, 2020.revised in Semptember 29, 2022.1. "Hawthorn: Crataegus oxyacantha, Crataegus monogyna and related species."Science Direct.published 2019. accessed September 29,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