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비싸리 Kirilow’s indigo

땅비싸리, 삼숭동 Kirilow’s indigo, iPhone5s, June 5, 2020 ©김혜경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학명의 어원 (Etymology)

Indigoferafrom indigo and Latin -fera meaning bearing (from Latin, feminine of -fer) 남색으로 염색하는 색소인 인디고 indigo (인도남 印度藍)와 지니다는 뜻의 라틴어인 fera의 여성형의 합성어로 남색을 지닌이라는 뜻의 땅비싸리속의 이름이다.kirilowii러시아의 식물학자인 Iwan P. Kirilow (1821-1842) 의 이름을 기리는 종소명이다.

과 (Family)

콩과 (Leguminosae)

생육기 (Life Cycle)

넓은잎 갈잎 반떨기나무 (落葉/闊葉/半灌木, deciduous broad-leaved half-shrub)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키가 작은 비싸리라는 의미로 접두사 땅은 키가 작아 땅바닥에 닿아 있다는 뜻이다. 일본의 식물학자 마키노 도미타로 (1862~1957)가 이름지은 것으로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의 저자 이윤옥은 '조선댑싸리'로 부를 것을 권한다.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논싸리, 젓밤나무, 완도당비사리, 큰땅비싸리, 땅비수리.

꽃말 (Floriography)

원산지 (Origin)

중국, 한국, 일본 (China, Korea, Japan)

서식 (Habitat)

숲이나 길 가장자리에 군집으로 자라고 햇볕이 풍부하고 물빠짐이 좋은 곳에서 잘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연한 자주색 (Light Purple)

개화시기 (Bloom Time)

5월-6월 (May-June)

식용 (Edible Uses)

약용 (Herbalism)

뿌리를 광두근 (廣豆根) 이라 하여 약용한다.

조경 (Landscape Uses)

이식성이 뛰어나고 번식이 용이라여 절개사면과 도로변의 녹화에 이용된다. 수형은 단정하지 않으나 30~100cm 로 자라며 뿌리에서 많은 줄기가 나와 큰 개체군을 이룬다.1 꽃이 크고 아름다우며 벌과 곤충이 모이게 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며 잔가지는 녹색이기 때문에 나무가 아니라 풀로 보인다. 작은 잎은 양면에 털이 있고 마주나기이고 작은 잎이 모인 큰 잎은 어긋나기로 달린다. 꽃은 선박의 용골을 뒤집어 놓은 모양이며 총상꽃차례로 잔가지에 나란히 달린다.

기타 (Miscellaneous)

전초를 잘게 썰어 염료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땅비싸리는 광대싸리와 같은 콩과이지만 속이 다른 종류다. 우리나라 산 어디서나 흔하지만 작은 키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낭아초와 꽃이 매우 비슷하지만 낭아초는 나무가 아니고 열매도 짧다. 2
땅비싸리, 삼숭동 Kirilow’s indigo, iPhone5s, June 5, 2020 ©김혜경 DragonBlossom
땅비싸리, 삼숭동 Kirilow’s indigo, iPhone5s, June 5, 2020 ©김혜경 DragonBlossom
땅비싸리, 삼숭동 Kirilow’s indigo, iPhone5s, June 5, 2020 ©김혜경 DragonBlossom
created in July 24, 2020.revised in September 25, 2020.
1. 김태영·김진석.한국의 나무.경기:돌배개, 2011.2. 박상진.궁궐의 우리나무.서울:눌와,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