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과 양재천, 중랑천 주변의 식물이름과 용도 Etymologies and usages of common plants around Seoul and Han River.
공유 링크 만들기
Facebook
X
Pinterest
이메일
기타 앱
때죽나무 Snowbell
때죽나무 Snowbell,옥정동 HWL, October 15, 2022 ⓒDragonBlossom
학명 (Scientific Name)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학명의 어원 (Etymology)
일본 때죽나무StyraxProbably of Semitic origin, because this resin was introduced by the Phoenicians. 페니키아 수지(resin)의 이름인데 때죽나무에서 나오던 수지인 소합향(蘇合香)을 부르던 단어이다.t1 그리스어로 안식향을 추출하던 Storax 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w4japonicus Latin, feminine of japonicus ‘Japanese’ 라틴어로 '일본의' 라는 뜻의 종소명이다.
과 (Family)
때죽나무과 (Styracaceae)
생육기 (Life Cycle)
넓은잎 갈잎 작은키나무 (落葉/闊葉/小喬木, deciduous broad-leaved small tree)
이름의 유래 (Common Name Etymology)
달걀 같은 열매가 회색으로 반질거려 마치 스님이 때로 몰려 있는 것 같은 모습같아 떼중나무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또한 열매와 잎에는 에고사포닌(Egosaponin) 이란 성분이 들어 있어 찧어서 물속에 풀면 고기가 잠시 기절하여 간단한 고기잡이에도 쓰였는데 고기가 떼로 죽어 떼죽나무로 불리우다가 때죽이 되었다고도 한다.1
다른이름 (Other Common Names)
노가나무, 족나무.2
꽃말 (Floriography)
겸손
원산지 (Origin)
동아시아 (Eastern Asia)
서식 (Habitat)
중부 이남의 산기숡이나 산중턱에서 자란다.
꽃색상 (Bloom Color)
흰색 (White)
개화시기 (Bloom Time)
5월-6월 (May-June)
식용 (Edible Uses)
열매에는 기름이 풍부해 북쪽지방에서 동백기름의 대용으로 등잔불을 켜거나 머릿기름으로 이용되었다.
약용 (Herbalism)
꽃을 매마등(買麻藤)이라 하며, 골절이나 뱀에 물렸을 때, 인후통이나 치통에 약으로 쓰며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w4
조경 (Landscape Uses)
각종 병충해와 공해에 매우 강하고 추위에도 강하며 레몬향의 짙은 꽃향기로 공장 근처에도 많이 심으며 적당한 크기에 청초한 꽃이 아름다와 가로수로도 이용된다.3
농업용 (Agricultural Uses)
꽃에 꿀이 풍부해 밀원으로 이용되며 향수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주요특징 (Key Features)
높이 4~8m로 자란 잎은 어긋나며 난상 타원형이다. 끝은 뾰족하고 쐐기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얕은 톱니가 있다. 열매는 지금 8~14mm의 난상 구형이며 회백색을 띄며 표면에 회색의 성상모가 밀생한다. 종자는 1~2개씩 들어 있으며 길이 1cm로 타원형이 갈색이다.4 회갈색 나무껍질은 매끈하다가 나이가 들면 세로로 얇게 갈라진다.5
기타 (Miscellaneous)
크게 자라는 나무가 아니기 때문에 간단한 농기구를 만드는 목재로 이용되었다. 물이 귀하던 제주도에서는 빗물을 받을 때 정수하고 썩지 않게 하는데 이용되었다.6때죽나무 Snowbell,옥정동 iPhone7, July 29, 2020 ⓒDragonBlossomcreated in September 26, 2022.revised in October 15, 2022.1. 박상진.궁궐의 우리나무.서울:눌와, 2001.2. "때죽나무."권오정. published 2015. accessed September 26, 2022.3. 박상진,궁궐의 우리나무.4. 김태영·김진석.한국의 나무.경기:돌배개, 2011.5. 박상진,궁궐의 우리나무.